
고금리·고환율 지속으로 증시 대기 자금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 파킹형 상장지수펀드(ETF)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파킹형 ETF는 장기 투자를 위한 안전한 투자 상품으로, 주식 시장 변동성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지난 1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의 대고객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 잔액은 연초 76조5892억원에서 이달 17일 기준 86조7848억원으로 13.3% 증가했습니다. 투자자 예탁금은 3월 증가 추세로 전환해 이달 17일 기준 55조원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에 단기자금 운용 상품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머니마켓펀드(MMF) 잔액은 1월 2일 171조575억원에서 이달 17일 210조9537원으로 23.3% 증가했고 같은 기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액도 74조7814억원에서 79조5310억원으로 약 5조원 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장기 투자들이 꼭 알고 활용해야 하는 파킹형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파킹형 ETF의 특징
파킹형 ETF는 양도성예금증서(CD)나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등 초단기 채권 금리를 일 단위로 계산해 복리로 적용하는 상품입니다.
파킹형 ETF는 국채·통안증권·양도성예금증서 등 우량 초단기 채권에 집중 투자해 파킹통장처럼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이 발행한 양도성예금증서 만기는 보통 91일이고, 국채와 통안증권을 담보로하는 익일물 환매조건부채권 금리를 사용해 산출하는 한국무위험지표금리는 일 단위로 공시됩니다.
파킹통장과 달리 파킹형 ETF는 투자 한도액이 없고, 금액별로 금리를 차등 적용하지 않는 점도 강점입니다.
파킹통장과 비교해 금리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습니다. 가령 CD형 상품의 경우 양도성예금증서의 일 단위 최종호가수익률을 365로 나눠 일할 적용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난달 양도성예금증서 평균 최종호가수익률이 3.66%이므로, 매일 평균 0.01% 금리를 복리로 적용받은 셈입니다. 납입 한도나 금액별 금리가 차등 적용되지 않는 저축은행 파킹통장 가운데 가장 높은 금리가 연 3.5% 수준입니다.
▶ 전략적 자산 배분: 국채, 회사채 등 안정적인 수익성을 가진 자산에 투자하여 시장 변동성을 완화합니다.
▶ 낮은 비용: 일반적인 주식 ETF에 비해 운용 비용이 낮아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 안정적인 수익: 단기적인 변동성보다는 장기적인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 다양한 투자 옵션: 국내, 해외, 신흥 시장 등 다양한 파킹형 ETF 상품이 출시되어 투자자들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2. 파킹형 ETF의 투자 대상
장기 투자를 계획하는 투자자: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안정적인 장기 수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 시장 변동성에 대한 위험 감수성이 낮은 투자자: 시장 변동성에 민감한 투자자들이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은퇴 준비를 하는 투자자: 은퇴 시기를 앞두고 안정적인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유용합니다.
▶ 초보 투자자: 투자 경험이 부족하거나 투자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초보 투자자들이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투자 상품입니다.
3. 파킹형 ETF의 주요 종류

올해 들어 ETF 개인 순매수 상위 30개 종목에는 파킹형 ETF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에는 연초 이후 994억원의 개인 순매수세가 유입됐고 SOL 초단기채권액티브에 558억원, KBSTAR 머니마켓액티브에는 548억원,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에 523억원이 유입되었습니다.
▶ 15일 기준 순자산 규모가 가장 많이 증가한 상위 10개 ETF 중에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9천471억원)와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7천663억원) 등 2개 상품이 각각 2위와 5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 한화자산운용은 지난달 말 초단기 금융상품인 MMF(머니마켓펀드)를 ETF로 재구성한 'ARIRANG 머니마켓액티브' ETF를 출시했고 키움투자자산운용도 지난 2월 '히어로즈 머니마켓액티브' ETF를 신규상장했습니다.
▶ 파킹형 ETF 중 견조한 수익률을 자랑하는 상품은 KB자산운용의 'KBSTAR 머니마켓액티브' ETF다. 이 ETF의 1개월·3개월·6개월 수익률은 각각 0.38%·1.10%·2.28%로 현재 국내 증시에 상장한 파킹형 ETF 12개 가운데 1위(12일 기준)를 기록 중입니다.

파킹형 ETF는 기관들이 주로 투자하던 상품이었으나 최근 개인들의 투자 수요를 확인한 자산운용사들이 속속 관련 상품을 개발·출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 자금뿐만 아니라 계열사의 자금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품 개발을 할 유인이 있다는 것이죠.
추가적인 파킹형 ETF로 고려해볼만한 투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 국내 채권 ETF: 국내 채권 시장에 투자하는 ETF이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해외 채권 ETF: 해외 채권 시장에 투자하는 ETF이며, 국내 채권 ETF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위험도도 높습니다.
▶ 상품 ETF: 금, 은, 석유 등 상품 시장에 투자하는 ETF이며, 주식과 채권 시장과의 상관관계가 낮아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유용합니다.
▶ 혼합 자산 ETF: 채권, 주식,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ETF이며, 위험과 수익의 균형을 추구합니다.

4. 파킹형 ETF 투자 시 고려 사항
파킹형 ETF 투자 시 고려하셔야 할 것들입니다. 파킹형 ETF도 역시 ETF입니다. 그래서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 투자 목표: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파킹형 ETF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투자 기간: 장기 투자를 위한 상품이므로, 단기적인 수익을 기대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합니다.
▶ 자산 배분: 파킹형 ETF만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보다는, 주식, 부동산 등 다른 자산과 함께 균형 잡힌 자산 배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비용: ETF의 운용 비용, 거래 비용 등을 고려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 시장 상황: 투자 시점의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위험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5. 파킹형 ETF 투자 관련 정보
아래는 파킹형 ETF관련 투자업로를 얻으실 수 있는 사이트들을 정리했습니다.
▶ 금융감독원 ETF 정보: https://fss.or.kr/
▶ 한국거래소 ETF 정보: http://data.krx.co.kr/contents/MDC/MGZN/publication/MDCMGZN001.cmd?menuId=MDCMGZN009
▶ 증권사 ETF 정보: 각 증권사 홈페이지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