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를 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미국 주식시장의 거리시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정식 거래시간외에도 Pre-Market과 After-Market에서 거래하시는 분들이 많지요.
아무래도 저녁 늦은 시간이나 새벽까지 계속 시장을 보고 있을 수 없어서 예약거래나 Pre-Market과 After-Market에서 거래를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미국 주식시장의 거래시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 미국 주식시장 개장시간
미국 주식을 거래하려면 저녁 늦은 시간까지 기다려야 하지요. ㅠㅠ 우리나라 시간을 기준으로 미국 주식시장 개장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로 주문 체결은 저녁 11시 30분 이후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 가능하다.
(서머타임적용시 22:30)
■ 미국 주식시장 거래시간: 23:30 ~ 익일 06:00
(서머타임 22:30 ~ 익일 05:00)
■ Pre-Market 및 After Market 시간대에는 주문 및 체결이 안되지만, 국내에서도 미래에셋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Pre-market 시간 20:00 ~ 22:30
After-market 시간 05:00 ~ 06:00
미래에셋대우에서 프리마켓은 정규시장이 시작되기 전 1시간30분 동안입니다. 다른 증권회사는 알아보지 못했네요.
조만간 전체 증권회사의 프리마켓 주문가능여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프리마켓 주문방법
- 가능매체 : HTS(카이로스) / MTS(m.Global)
- 주문방법 : 프리마켓 매매가능시간 중 해외주식 일반주문화면에서 주문 (프리마켓 주문을 위한 별도옵션선택 불필요)
- 정규장 시작(=프리마켓 종료)시, 프리마켓 미체결 주문은 정규장으로 이어짐.
■ 프리마켓 매매제도 상세
매매가능시간 |
미국 정규장 시작 전 1시간30분 동안 가능 (서머타임 아닐 시) 22:00~23:30 / (서머타임 시) 21:00~22:30 |
호가단위 |
정규장과 동일 (주가1 USD이상 종목 : 0.01 / 주가1 USD이하 종목 : 0.0001) |
수수료 |
정규장과 동일 (온라인 0.25%) |
제세금 |
정규장과 동일 (매도 시 SEC FEE 0.00221%)> |
재매매 허용여부 |
정규장과 동일 (재매매 가능) |
결제일 |
정규장과 동일 (T+3) |
주문가격제한 |
1. 주문 전송 시 현재가 ±30% 주문은 거부됨. 2. 주문전송 시, 해당 주문이 체결되어 만들어지는 현재가가 직전대비 다음 변동률을 넘게 되는 경우, 거부처리 됨 현재가가 '25 USD 이하'인 주식 : ±5% 현재가가 '25 USD 초과 50 USD 이하'인 주식 : ±3% 현재가가 '50 USD 초과'인 주식 : ±1% [예시] 현재가가 100 USD인 주식 주문의 접수/거부 케이스 . 정상접수 케이스 현재가는 100 USD, 매도1호가는 100.50 USD, 매도잔량100주인 경우, 매수주문을 주문가102 USD/주문수량40주로 전송시 주문정상접수됨. (체결시 현재가는 100.50 USD로 가격변동 0.5%이므로 1%제한 미만) . 주문거부 케이스1 현재가는 100 USD, 매도1호가는 102 USD, 매도잔량100주인 경우, 매수주문을 주문가102 USD/주문수량40주로 전송시 주문거부됨. (체결시 현재가는 102 USD로 가격변동 2%이므로 1%제한을 초과) . 주문거부 케이스2 현재가는 100 USD, 매도1호가는 100.50 USD/매도잔량30주 매도2호가는 102 USD/매도잔량10주인 경우, 매수주문을 주문가102 USD/주문수량40주로 전송시 주문거부됨. (체결시 현재가가 102 USD로 가격변동 2%이므로 1%제한을 초과) ※ 주문가격제한은 미국 *SEC(미국증권거래위원회) 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름 |
■ 프리마켓 매매 유의사항
1. 호가 간의 가격 차이가 큼
프리마켓은 정규장과 달리 호가 간 갭 차이가 큰 경우가 많으므로 주문가격 주의 필요.
2. 거래량은 적고 가격변동성은 높음
프리마켓 거래량은 정규장 대비 매우 적은 바, 적은 체결량으로도 큰 주가 변동이 있을 수 있음.
3. 정규장 가격과 괴리가 클 수 있음
미국 SEC 규정상, 시장조성자는 정규장 개장 전 시장에 참여할 수 없는 바, 시장 이벤트 발생시 프리마켓 가격은 정규장 주가와 큰 괴리를 보이는 경향이 있음.
4. 주문 시 호가제한 폭이 정규장과 다름
미국 *SEC/**FINRA의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른 프리마켓 주문가격 제한 폭은 정규장에 비해 좁으므로 주문이 거부되지 않도록 주문가격제한에 따른 주문 필요.
*SEC (Security and Exchange Commission)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FINRA (Financial Industry Regulatory Authority) : 미국 금융산업규제국
5. 정규장 시작시 프리마켓 미체결 주문 유효
- 프리마켓 마감 후 정규장에서도 프리마켓 시간대에 주문건에 대해 유효하니 주문 시 유의 필요.
▣ 미국 주식시장 구분
▶ 장내시장
뉴욕증권거래소 (NYSE) : 시가총액, 거래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 금융상품 시장입니다 (전세계 시가총액의 약 40%차지)
아메리카 증권거래소 (NYSE AMEX) : NYSE와 AMEX의 합병으로 탄생시장이다. 중소형성장 주에 특화된 시장이지요.

▶ 장외시장
나스닥 (NASDAQ) : 벤처, 중소기업, 첨단기술기업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미국 최대의 장외시장입니다.
OTCBB, Pinksheets : NASDAQ 또는 기타 거래소에서 거래되지 않는 다양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장외시장이다.
Regional Exchanges : Chicago, Philadelphia, Boston, Pacific, Cincinnati Exchanges 옵션 거래에 특화
▣ 미국주식 결제일
내가 주문한 금액으로 거래가 체결되면, 예수금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날은 다음과 같다.
매수: 매수한 날 D+3일
매도: 매도한 날 D+3일
▣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미국 주식을 통해 돈을 벌어도 국세청에 세금을 냅니다. 해외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면 수익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한다고 하네요. 대상은 당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안에 결제된 전체 해외 주식 매매 차익에 대해서 과세합니다. 매년 5월 공제금액을 차감한 금액만큼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하면 됩니다.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기본공제 : 당해연도 시세차익 250만원은 양도소득금액 공제

개별 종목뿐 아니라 미국 ETF도 똑같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해외 지수를 따르지만 한국 증시에 상장해 거래되는 ETF는 국내 투자 상품으로 분류되어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대상은 아닙니다. 우리나라 시장에서 판매하는 해외 주식, 채권형 ETF 상품에서 수익을 봤다면, 이는 ‘배당소득’으로 구분돼
배당소득세(15.4%)를 내시게 됩니다.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미국주식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은 양도소득세 과세표준에 22%를 곱하시면 됩니다.
1.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 양도차액(매도금액 – 매수금액 – 제비용- 수수료) – 기본공제금액 250만원
2. 양도소득산출세액 : 양도소득세 과세표준 * 22% (해외주식에 대한 세율, 지방소득세 10% 포함됨)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테슬라 주식에 500만원을 투자해 1000만원을 벌었다면 양도소득세는 55만원이 됩니다.
- 1000만원 - 500만원 (원금) = 500만원 (수익, 과세 대상)
- 500만원 (과세대상) - 250만원 (기본공제) = 250만원
- 250만원 (과세 - 기본공제) * 22% = 55만원

양도소득세는 매년 5월 1회 신고해야 합니다. 매년 1월 1일 ~ 12월 31일 기간 내 매도한 내역에 대해 다음연도의 신고기간 (5월 1일 ~ 5월 31일)에 자진신고 납부하는 것입니다. 신고기한 내 신고하지 않는 경우 가산세를 내야 합니다.
미국주식으로 배당소득이 발생한다면 미국 정부에 세금(15%)을 내게 됩니다. 증권사가 알아서 세금을 제하고 입금해주기 때문에 개인이 직접 계산해서 낼 필요가 없어요. 온통 세금이네요.
미국에 낸 배당소득세를 우리나라 국세청에 신고해서 낼 필요는 없다. 다만 배당 금액이 2000만원을넘는다면 종합소득과세 대상이 된다고 합니다.